본문 바로가기
배워야 산다/Linux

SVN 설치 및 설정 (리눅스)

by 인라인타지마 2013. 12. 4.

리눅스 환경에서 SVN 서버 설치

0. 루트계정으로 변경후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한다.

   yum -y install subversion


1. svn을 컨트롤하기 위한 환경변수를 잡아준다.

SVN_EDITOR=/usr/bin/vim
export SVN_EDITOR



SVN 서버 설정하기

1. 저장소만들기

   svn을 사용할 계정에 접근하여 경로를 생성한다. 

mkdir ./svnserver


svn 저장소를 생성한다.

svnadmin create /[svn경로]/[저장소이름]

ex> svnadmin create /home/svn(계정명)/svnserver/TEST


2. 저장소 설정 - ./conf/svnserve.conf

[general]
#익명 사용자 읽기 여부
anon-access = read
#인증 사용자 쓰기 여부
auth-access = write
#저장소의 사용자 및 비밀번호 설정하는 파일명
password-db = passwd

3. 사용자설정 - ./conf/passwd
[users]
harry = harryssecret
[아이디] = [비밀번호]

4. SVN서비스의 시작 - 기본포트 3690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svnserve -d -r /[SVN의 경로]

ex> svnserve -d -r /home/svn/svnserver

포트를 변경해서 띄울 수도 있다.


5. 기본 디렉터리 생성 

[root@localhost] svn mkdir svn://localhost/저장소이름/trunk
[root@localhost] svn mkdir svn://localhost/저장소이름/branches
[root@localhost] svn mkdir svn://localhost/저장소이름/tag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

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해당 디렉터리 관리 창이 vi로 열리게 되는데 취소(A), 계속(C), 수정(E) 로 물어보면 C를 누른다

해당 리눅스 계정의 비번을 물어보면 비번을 입력한다.


위 과정에서 Store password unencrypted(yes/no)? 에서 넘어가지 않을 경우

계정의 홈디렉터리 ~/.subversion/servers 파일을 열어서

# store-passwords = no 의 주석을 해제해 주면 된다.



trunk : 기본적으로 개발을 시작할 때 사용
branches : release 버전과 유지보수 버전을 분리할 때 사용
tag : 한번 만들면 수정하지 않음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[출처] 리눅스 SVN(subversion) |작성자 지그

   

반응형

'배워야 산다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VN 실행 (특정포트실행)  (0) 2014.07.08
톰캣 로그정리 (catalina.out)  (0) 2014.03.07
VSFTPD 설치 및 설정  (0) 2013.09.10
리눅스 시간동기화  (0) 2013.09.10
리눅스 포트 죽이기  (0) 2013.06.24